영화
Advertisement
Blue check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지침입니다.
이것은 위키백과 사용자들이 기본적으로 동의하는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가능하다면 따라야 합니다. 그러나 공식 정책은 아니므로 상식과 상황에 따라서는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문서의 내용을 편집할 때는 그 내용에 대해 사용자들이 동의하는지를 확인해주세요. 내용에 의문이 있다면 우선 토론란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단축:
백:편
백:편집
위키백과의 정책과 지침
대원칙
  • 다섯 원칙
  • 위키백과에 대한 오해
  • 저작권
문서의 내용
  • 중립적 시각
    • 모호한 표현을 삼가 주세요
  • 확인 가능
  • 독자연구 금지
문서의 스타일
  • 편집 지침
  • 제목 선택하기
  • 넘겨주기 문서
  • 동음이의어 문서
절차
  • 차단 정책
  • 삭제 정책
사용자
  • 새로 온 손님들을 쫓아내지 마세요
  • 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
  • 규칙에 얽매이지 마세요
  • 좋은 뜻으로 보기
  • 편집은 과감하게

위키백과의 모든 정책과 지침 보기

위키백과 문서들의 통일성을 위해서, 문서에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스타일이 있습니다. 이 문서는 그러한 관례들을 정리해 놓은 문서입니다.

특정한 분야와 관련된 문서 편집 지침은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를 참고하여 주세요.

일반[]

글은 한국어와 한글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한국어가 아닌 언어를 쓸 때에는 괄호나 따옴표 안에 집어 넣어 구분해 줍니다. 한국어가 아닌 언어 여러 개 가운데 선택해야 할 때에는 되도록 중립적인 관점에서 합리적인 언어를 씁니다.

글을 작성할 때에는 그 문서에 맞는 분류를 하나 이상 추가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언어에 동일한 표제어를 가진 문서가 있는지 확인하여, 인터위키를 추가해 줍니다.

굵은 글씨는 중요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습니다. 기울인 글씨도 한글일 경우 되도록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필요 없는 시각적 효과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링크 걸기[]

일반 문서에 위키백과:, 도움말:, 틀: 등의 네임스페이스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분류: 네임스페이스는 예외적으로 목록을 표시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언어의 위키백과로의 링크도 걸지 않습니다. 이것은 인터위키로 대체합니다.

한국어 조사에는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 예: 리눅스는 (X) 리눅스는 (O)

XHTML 태그[]

  • 한 칸을 내리는 br태그는 위키백과:틀과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br>은 XHTML 표준에 맞지 않기 때문에 되도록 쓰지 않습니다. 부득이 써야하는 경우에는 <br />과 같이 씁니다. <br/>은 XHTML 표준에는 맞지만 몇몇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습니다.
  • XHTML 태그를 위키 문법으로 대체할 수 있을 때에는 최대한 위키 문법을 사용합니다.
    • 글자를 강조할 때는 <b>, <strong> 대신 '''로 열고 닫아 주세요.
  • 태그를 부득이하게 써야 할 때에는, XHTML Strict 문법에 맞게 사용합니다.
    • <b>는 XHTML Strict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신 <strong>을 써 주세요.
    • 마찬가지로 <i>, <s>/<strike> 대신 <em>, <del>를 사용합니다.
    • <font>는 <span style=" ">과 같은 CSS로 대체해야 합니다.
    • 속성 중 표의 구조와 관계 없는 부분은 모두 CSS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다만, border 속성은 CSS로 대체하면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을 주의해 주세요.

표제어[]

이 부분의 본문은 위키백과:제목 선택하기입니다.

첫 문단[]

일반적으로 표제어를 첫 문장의 처음 부분에 쓰고, 그 표제어를 굵은 글씨로 표시합니다. 표제어에 링크를 달지 않습니다.

  • 아리랑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 성악에서 베이스는 남자 가수의 가장 낮은 음역이다.

표제어의 보충 설명을 하려면 괄호를 사용합니다. 이 때, 표제어와 괄호 사이를 띄어쓰지 않고, 괄호 안의 내용은 굵게 표시하지 않습니다.

  • 턱스(Tux)는 리눅스 프로젝트의 공식 마스코트이다.
  • 부다페스트([[틀:언어 문서|틀:언어 이름]]: Budapest)는 헝가리의 수도이다.

외국어와 외래어[]

외국어 원어를 표기할 때에는 그 언어의 이름을 알 수 있게, {{llang}} 을 씁니다. 그러나 언어가 명확한 경우 {{lang}}을 써도 됩니다.

  • 모스크바([[틀:언어 문서|틀:언어 이름]]: Москва)는 러시아의 수도이다.
  • 샌프란시스코([[틀:언어 문서|틀:언어 이름]]: San Francisco)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서해안에 있는 도시이다.
  • 히로시마 현(広島県)은 일본 혼슈 섬 서남부에 있는 현이다.

번역어이거나 외래어이지만 참고를 위해서 영어 등의 표기를 덧붙일 경우 {{lang}} 틀을 씁니다.

  • 에너지(energy)는 물리학에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표제어가 외래어 표기법과 다른 경우에는 외래어 표기법의 표기를 밝혀 줍니다.

  • 거스 히딩크([[틀:언어 문서|틀:언어 이름]]: Guus Hiddink 휘스 히딩크[*])는 네덜란드의 축구 감독이다.

현지 이름이 다르거나 여러 이름이 있는 경우, 그것을 밝혀 줍니다. 단 표제어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지 않은 언어는 표시하지 않습니다.

  • 코펜하겐([[틀:언어 문서|틀:언어 이름]]: Copenhagen, [[틀:언어 문서|틀:언어 이름]]: København 쾨벤하운[*])은 덴마크의 수도이다.

남북의 표기가 다른 경우에는 양 쪽 다 써주어야 합니다. 이 때 표제어로 사용하지 않은 쪽의 표기를 {{llang}}을 써서 굵은 글씨로 적어 줍니다. 표준어식 표기는 {{llang|ko-KR|'''표준어 표기'''}}, 문화어식 표기는 {{llang|ko-KP|'''문화어 표기'''}}와 같이 씁니다.

  • 코사인(Cosine, [[틀:언어 문서|틀:언어 이름]]: 코시누스)
  • 량강도([[틀:언어 문서|틀:언어 이름]]: 양강도)

인명[]

이름(태어난 날~죽은 날) 순으로 씁니다. 이 때, 한국인과 중국인은 성과 이름을 붙여 쓰고, 다른 나라 사람의 이름은 띄어 씁니다.

  • 야코프 루트비히 카를 그림([[틀:언어 문서|틀:언어 이름]]: Jakob Ludwig Carl Grimm, 1785년 1월 4일~1863년 9월 20일)
  • 김유정(金裕貞, 1908년~1937년)
  • 조앤 롤링(Joanne K. Rowling, 1965년 7월 31일~)

외국인의 이름에 한자가 쓰일 경우 한국어식 한자 발음이 아닌 현지의 한자 발음으로 씁니다.

  • 노구치 히데요([[틀:언어 문서|틀:언어 이름]]: 野口英世, 1876년 11월 9일~1928년 5월 21일) - 야구영세(x)

외국인의 이름에서 한국어와 외국어에서 쓰는 한자가 다를 경우 현지의 한자로 표기합니다.

  • 고레카와 긴조([[틀:언어 문서|틀:언어 이름]]: 是川銀蔵, 1897년 7월 28일~1992년 9월 12일) - 是川銀藏(x)

날짜가 명확치 않은 경우는 '~경', '무렵', '즈음'을 사용합니다.

  • 피타고라스(기원전 6세기 중반~497년경)
  • 소크라테스(기원전 470년경~기원전 399년 5월 7일)

중국인은 활동한 시기를 기준으로, 신해혁명 이전의 인물은 한국어식 발음을, (예: 공자·유비) 이후의 인물은 중국어식 발음을 씁니다. (예: 쑨원·덩샤오핑) 신해혁명 이후 인물 중, 한국어식 발음도 널리 쓰이는 경우는 문서를 생성하여 중국어식 발음으로 넘겨줍니다. (예: 등소평덩샤오핑)

제목[]

제목 앞뒤에 붙는 꺾쇠표(〈〉, 《》)와 같은 문장 부호는 굵게 표시하지 않습니다.

  • 태백산맥》은 조정래의 대하소설이다.

문단[]

  • 두 줄 이상 빈 줄을 넣지 않습니다.
  • 0단계 제목(= … =)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자주 쓰이는 문단 제목[]

많이 쓰이는 문단의 제목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사용합니다.

  • 참고 문헌을 모아놓는 문단의 제목은 ‘참고 문헌’으로 씁니다. (영어 위키백과의 References)
  • 외부 사이트의 링크들을 모아놓는 문단의 제목은 ‘바깥 링크’로 씁니다. (영어 위키백과의 External Links)
    • link의 정식 용어를 '고리'가 아니라 '링크'로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위키백과:사랑방/2006년 10월#용어 투표). 이에 따라 이 부분은 수정이 필요하며, 아직 명확한 대체어가 결정되지 않았고 현재 이 부분에 대해 논의 중입니다.

외부 링크[]

정식 홈페이지가 있으면 그 링크를 가장 처음에 놓으며, 되도록 한국어 문서를 기준으로 연결합니다.

한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된 문서를 연결할 경우 언어링크를 붙여 줍니다.

  • 언어링크에는 4개까지의 언어를 넣을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언어를 나타낼 때는 맨 뒤에 "..."를 덧붙일 수 있습니다.
  • 지역 공식 사이트 같은 경우에는 여러 언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그 지역의 공용어를 먼저 쓰고, 영어나 한국어가 있을 경우 함께 덧붙인 다음 맨 뒤에 "..."를 붙입니다. 예를 들어 체코어, 독일어가 사용되는 지역의 사이트가 영어를 함께 지원할 경우 {{언어링크|cs|de|en|...}}가 됩니다.

언어링크가 끝난 다음에는 띄어 씁니다.

맞춤법[]

띄어쓰기[]

  • (學)으로 끝나는 단어는 모두 붙여 씁니다. – 예: 정치경제학
  • 한국어 이름은 외자인 경우에도 성과 이름을 붙여 씁니다.

문장 부호[]

주의: 이 부분의 제안은 아직 토론 중이니 계속 방침이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새 문서 편집에는 참고하되 기존 문서를 고치는데 무리하게 적용하지는 않습니다.
  •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를 쓸 때는 둥근 따옴표(‘’“”)를 씁니다. 하지만 입력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고, “”의 경우 세벌식 최종 자판에서만 입력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줄 끝이 아닌 쉼표와 마침표 뒤에는 공백을 하나 넣습니다.
  • 반각 문장 부호(U+0020~U+007E)와 전각 문장 부호(U+3000, U+FF01~U+FF5E)가 따로 있을 때, 반각 문장 부호만 쓰고 전각 문장 부호는 버립니다.
    • (U+FF01: X) → ! (U+0021: O)
    • (U+FF02: X) → " (U+0022: O)
    • (U+FF0F: X) → / (U+002F: O)
    • (U+FF1F: X) → ? (U+003F: O)
    • (U+FF5E: X) → ~ (U+007E: O)
  • 작은따옴표의 경우 작은따옴표가 붙는 대상의 원래 뜻을 강조하거나 다른 방향으로 사용 할 때 사용됩니다.
    예: 오늘따라 짱구가 '미남'으로 보이는 것 같구나.
  • 큰따옴표는 대화 내용이나 짧은 인용일 때 사용됩니다.
    예 1: 이 때 이순신 장군이 외쳤다. "죽으려 하면 살 것이고, 살려 하면 죽을 것이다."
    예 2: 미국의 한 정치학 교수는 이번 사건을 "현대인의 깊은 소외 현상이 빚어낸 최대 참사"라고 규정하였다.

인명·지명의 하이픈(-)[]

한 사람·영토의 인명·지명을 한글로 옮길 때는 하이픈을 빼고 옮깁니다. 하이픈을 유지하거나 공백으로 대체해서는 안 됩니다.

  • 예: Jean-Paul Sartre → 장폴 사르트르(O), 장 폴 사르트르(X), 장-폴 사르트르(X)
  • 예: Champs-Élysées → 샹젤리제(O), 샹 젤리제(X), 샹-젤리제(X), 샹ㅈ 엘리제(X), 샹ㅈ-엘리제(X)

하이픈으로 연결된 이름과, 하이픈을 쓰지 않고 공백으로 띄어져 있는 이름이 같이 쓰이면 더 많이 쓰이는 쪽을 따릅니다. 다만 둘이 비슷한 비율로 같이 쓰이는 경우, 하이픈을 쓴 쪽을 택해 붙여서 옮깁니다.

  • 예: Antoine-Laurent de Lavoisier 또는 Antoine Laurent ~ → 앙투안로랑 드 라부아지에(O), 앙투안-로랑 드 라부아지에(X), 앙투안 로랑 드 라부아지에(X)
  • 예: Charles-Maurice de Talleyrand-Périgord 또는 Charles Maurice ~ →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O), 샤를 모리스 ~(X), 샤를-모리스(X), ~ 탈레랑 페리고르(X), ~ 탈레랑-페리고르(X)

고대 수메르·고대 이집트 인명을 한글로 옮길 때 하이픈이 쓰이는 경우가 빈번하면 하이픈을 유지합니다.

  • 예: 호르-아하(Hor-Aha)

서로 다른 사람의 두 이름이 하이픈으로 연결되었을 때는 하이픈을 유지합니다.

  • 예: McCune-Reischauer → 매큔-라이샤워(O), 매큔라이샤워(X), 매큔 라이샤워(X)

작품 제목 표시에 쓰이는 부호[]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 작품 제목을 표기할 때에는 보통 따옴표(' "), 낫표(「 」 『 』), 꺾쇠표(〈 〉 《 》), 부등호(< > << >>) 등을 사용합니다. 낫표와 꺾쇠표의 경우 입력이 불편하고 윈도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글꼴에는 한글 가로쓰기에 사용하기에는 공간을 필요 이상으로 차지하는 전각 기호로만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부등호는 꺾쇠표의 대체 기호에 불과합니다.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는 컴퓨터 화면에서 잘 눈에 띄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위키백과에서는 꺾쇠표를 쓰되 편집창 밑에 특수 문자 입력 바를 만들어 입력의 불편을 해결합니다.

작품 제목을 쓸 때 한글 제목의 경우 작품 규모에 따라 단행본 등의 대규모 작품 제목은 겹꺾쇠표(《 》), 논문 등의 소규모 작품 제목은 홑꺾쇠표(〈 〉)를 사용합니다. 한자나 일본의 가나를 사용할 때도 같은 원칙을 따릅니다. 로마자 제목의 경우 대규모 작품 제목에는 이탤릭체(기울인 글씨), 소규모 작품 제목에는 큰따옴표(")를 사용합니다. 예: Le Petit Prince, "The Snows of Kilimanjaro"

단, 작품 목록 등 리스트형 항목에서 겹꺾쇠표를 적용하지는 않습니다. 같이 보기 등과 같은 항목에서는 문서를 가리키는 것이므로 적용하지 않지만, 편집자의 재량에 따릅니다.

또한, 꺾쇠가 적용되는 제목에 한자나 외국어 병기가 있을 시에는 꺾쇠 바깥 괄호 안에 씁니다.

  • 한글 제목에 겹꺾쇠표를 사용하는 작품의 예
    • 단행본 이상 규모의 문헌 - 《다빈치 코드》
    • 희곡 - 《햄릿》
    • 컴퓨터 게임과 비디오 게임 - 《바람의 나라》
    • 영화 - 《올드보이》
    • 장편시, 서사시 - 《오디세이아》
    • 음반
    • 교향곡, 오페라 등 - 《핀란디아》
    • 텔레비전 시리즈 - 《겨울연가》
    • 시각예술 작품 - 《게르니카》
  • 한글 제목에 홑꺾쇠표를 사용하는 작품의 예
    • 논문, 기사(일회성 보고서 포함) 따위 - 〈시일야방성대곡〉
    • 더 긴 작품에서 따온 한 장(章)
    • 짧은 시 - 〈황조가〉
    • 노래 - 〈가고파〉
    • 단편소설 - 〈메밀꽃 필 무렵〉
  • 한자나 외국어 병기시의 예
    • 《태백산맥》(太白山脈)
    • 《레 미제라블》(Les Misérables)

날짜와 숫자[]

  • 날짜나 숫자의 범위를 나타낼 때는 줄표(-) 대신 물결표(~)를 씁니다.

날짜[]

모든 연도, 연대, 세기 문서의 제목은 각각 ‘-년’, ‘-년대’, ‘-세기’로 끝납니다. 이들 접미사 앞에는 공백이 붙지 않습니다. 기원전 날짜를 다루는 문서는 앞에 ‘기원전’이 붙고 그 뒤에 공백이 붙습니다. – 예 : 1950년, 1770년대, 18세기, 기원전 8세기

여기서 연대는 10년 단위를 통칭하며, 예를 들어 1950년대는 1950년부터 1959년까지를 나타냅니다. 세기는 100년 단위를 통칭하며, 예를 들어 19세기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1800년부터 1899년까지가 아님)를 나타내고, 기원전 3세기는 기원전 300년부터 201년까지를 나타냅니다.

날짜에 월·일이 들어 가는 경우 연도와 월·일에 따로 링크를 겁니다. 모든 월·일 문서의 제목은 ‘#월 ##일’ 꼴입니다. 다만 날 부분이 빠질 경우 꼭 필요하지 않다면 되도록 각 달로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 예 : 1980년 3월 13일, 1980년 3월

율리우스력이나 그레고리력이 아닌 다른 역법을 쓸 경우 별도로 명시를 해 줍니다. 특히 음력에서 윤달은 윤달이 아닌 달로 링크를 걸되 보이기는 윤달로 보이도록 합니다. – 예 : 음력 윤4월 7일

시각과 시간[]

어떤 사건이 일어난 시각 같이 어느 지역에 국한된 시각은 지역 시간대에 맞춰서 표기하고, 세계적으로 적용될 경우 협정 세계시를 씁니다. 이런 경우 되도록 시간대를 함께 써 줍니다. – 예 : 2038년 1월 19일 03:14:07 UTC

시간은 되도록 , (정확히 86400초) 단위로 씁니다. 또는 월 단위는 역법이나 기준 시각에 따라 바뀔 수 있으므로 정확한 시간이 필요할 경우 되도록 쓰지 않습니다. 단 천문학에 관련된 문서에서는 율리우스 년(정확히 365.25일)을 함께 쓰기도 합니다.

숫자[]

자릿수가 많은 숫자는 소수점 앞에 세 자리마다 자리표(,)를 붙이거나, 일정한 자리마다 공백을 넣을 수 있습니다. 소수점 앞에 정수부가 없을 경우 항상 0을 덧붙입니다. – 예 : 123,456,789, 12 3456 7890.9876 54, 0.314

필요하다면 수 목록에 수록된 작은 수들에 링크를 걸 수 있습니다. 단 200부터 1000 사이의 숫자는 보통 200, 300 등의 문서로 합쳐진 경우가 많습니다.

십진법이 아닌 수는 다음과 같이 표시합니다.

  • 컴퓨터와 관련된 문서에서는 C (프로그래밍 언어) 계열의 접두어를 씁니다. 16진법은 0x를, 8진법은 0을, 2진법은 0b를 씁니다. 이 경우 접두어에 대한 설명을 추가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 다른 문서에서는 아래첨자(<sub></sub> 태그)로 진법을 씁니다. 10진법 숫자도 필요하다면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 예 : 1379, 803210, 2A912, A87D16
  • 11진법 이상의 진법에서는 보통 10부터 35까지의 자리에 로마자 A부터 Z를 씁니다. 소문자는 보통 쓰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0x5AB3’을 ‘0x5ab3’이라고 쓰지는 않습니다.

단위[]

단위 표기는 한글로 풀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예: 시속 50 킬로미터, 300 톤

가급적이면 SI 단위계를 쓰되, 컴퓨터와 관련된 문서에서는 구별이 필요하다면 이진 접두어를 대신 씁니다. 예를 들어 232 바이트는 4 기가바이트(= 4 × 109)가 아닌 4 기비바이트(= 4 × 230)입니다.

분류[]

이 부분의 본문은 위키백과:분류입니다.

해당 분류명을 직접 설명하는 문서에는 [[분류:어떤 분류| ]]와 같이, |과 빈칸을 넣습니다.

  • 글꼴 → [[분류:글꼴| ]]

해당 분류명을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문서(목록 등)에는 [[분류:어떤 분류|*]]와 같이, *를 넣습니다.

  • 조선의 역대 국왕 → [[분류:조선의 왕|*]]
  • 천문학의 역사 → [[분류:천문학|*]]

분류에 속하는 모든 문서의 제목이 동일한 접두어로 시작할 경우 |와 접두어를 뺀 제목을 넣습니다.

  • 성남시 중원구 → [[분류:성남시|중원구]]

표제어가 실제로 가리키는 낱말과 표제어의 이름이 다를 경우 |와 실제로 가리키는 낱말을 넣습니다.

  • 구골 → [[분류:정수|1E100]]

어떤 분류의 상위 분류가 존재할 때, 이 상위 분류를 달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분류:기하학 분류에 속하는 문서에는 분류:수학 분류를 붙이지 않습니다.

토막글[]

이 부분의 본문은 위키백과:토막글입니다.

사용자 분께서 기여하신 문서의 양이 크지 않다고 판단될 때에는, 토막글 딱지를 붙일 수 있습니다.

저작물의 명칭과 표기[]

도서, 애니메이션, 영화, 음반, 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저작물에 공식적인 한국어 표기가 있을 경우 해당 표기를 그대로 따릅니다. 여기서 말하는 공식적인 한국어 표기는 해당 저작권을 가졌거나, 그에 준하는 권리를 가진 개인 또는 단체가 쓰는 한국어 표기이며, 이는 국립국어원의 한글 맞춤법이나, 저작권이 없는 아마추어 번역자가 번역한 표기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1. 공식적인 한국어 표기가 여러개일 경우 그 중 하나를 따릅니다.
    • 'SpongeBob SquarePants'(x), '스폰지밥 스퀘어팬츠'(x) → '보글보글 스폰지밥'(o), '보글보글 스폰지송'(o) 또는 '네모네모 스폰지송'(o)
  2. 띄어쓰기도 해당 표기를 그대로 따릅니다.
    • 위키 백과 (x) → 위키백과 (o)
    • 국립 국어원 (x) → 국립국어원 (o)
  3. 사실상 쓰이지 않는 공식 표기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4. 공식 명칭과 별도로 통용되는 명칭이 있을 경우, 필요에 따라 해당 명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1. 일본 애니메이션과 만화에서 사용하는 명칭과 캐릭터 이름의 경우 저작권을 가진 정식 수입사에서 채택한 표기를 따릅니다.
    • 포케몬 (x), Pokémon (x) → 포켓몬스터 (o)
    • 피카추 (x) → 피카츄 (o)
    • 조빗쓰 (x) → 쵸비츠 (o)
  2. 그 밖의 예시
    • 챔피언 리그(x) → 챔피언스리그(o)

기타[]

  • 본문 중에서 문서의 대상을 높이지 않습니다.
    • ‘님’, ‘씨’ 등 사람 이름 뒤에 붙는 높임말은 쓰지 않습니다. 단, 공식적인 칭호(영국의 ‘경’ 등)를 밝힐 필요가 있다면 써 줍니다.
  • 개인의 혈액형과 몸무게와 같은 사적인 정보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쓰지 않습니다.
  • 개인이나 기관의 전화번호나 팩스번호를 안내하지 않습니다.
  • 유명인들의 별명은 대중적으로 널리 인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쓰지 않습니다(관련 토론).

참고[]

  • 위키백과:넘겨주기 문서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