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Advertisement

신파극(新派劇)은 일본에서 처음 발생한 연극의 한 사조로 일제 강점기한국에서도 활발히 공연되었다. 줄여서 신파라고도 한다. 마당놀이는 한국의 전통 연극이고, 신파극은 일본에서 들어온 장르입니다. 마당놀이가 흥겹고 해학적인 내용으로 사회에 대한 비판를 해가며 신명나게 줄거리를 이끌어 가는 반면, 신파극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부터 이식되어 토착화된 연극 양식이다. 서양 멜로드라마를 일본식으로 변형시킨 일본 신파극에 한국적 특수성이 가미되어 한국적 멜로드라마로 탄생된 것을 신파극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신파극[]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서양의 연극 양식을 받아들인 정치극으로 시작되어 19세기 말엽에 지위를 굳혔다. 신파라는 용어는 일본의 전통 연극인 가부키를 구파로 보고 새로운 연극이라는 의미에서 생겨난 것이다. 발전 과정에서 점차 초기의 계몽적, 정치적 요소가 탈색되면서 오락적, 감상적 요소가 강해졌다.

한국의 신파극[]

한국에는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직후인 1910년대에 유입되어 인기를 끌었다. 처음 신파극이 도입되었을 때는 언어만 한국어로 바꾸어 공연될 뿐 일본 신파극을 직수입했다. 따라서 번안 대본을 비롯하여 연극의 모든 요소가 일본 신파극의 요소를 그대로 이식해온 것이었다.

한국에서의 신파극 발전 과정 역시 일본의 예를 비슷하게 따랐다. 초기에는 일본식 군사극이 많다가 탐정극을 거쳐 결국 가장 큰 인기를 끈 것은 가정비극을 다룬 멜로물이었다. 조중환의 《장한몽》, 이해조의 《봉선화》가 대표적이다. 조선 시대의 전래 소설 중 가정비극적 요소를 담은 《장화홍련전》, 《사씨남정기》 등도 공연되었다. 가야금과 장고 장단에 맞춰 부른 <장한몽가>는 일명<이수일과 심순애>라고 불려졌으며 신파극이나 무성 영화에 의하여 대단한 인기를 얻었다.

신파극에는 가부장제와 같은 구시대적 요소가 많았기 때문에 근대적 인식이 본격화된 1920년대에는 개량신파라는 이름으로 변형되었고, 1931년 극예술연구회가 창립되면서 신극과 확연히 구분되는 장르가 되었다. 신파극도 선진적인 신극의 영향을 받아 발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1935년 동양극장 설립 이후 체계적인 공연 체제를 가동하면서 상업적인 성공으로 전성기를 맞았다. 이서구, 박진, 송영, 김건, 박영호, 최독견 등이 신파극 전문 작가로 인기를 모았다. 소재는 가정비극과 사극이 주조를 이루었다. 이 시기의 대표작은 흥행에 크게 성공한 임선규의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이다.

한국 전쟁 전인 1940년대 후반까지 공연되다가 소멸했다. 한국 전쟁 후에는 신파극이라는 장르 자체는 화석화되었으나, 신파극이 품고 있던 요소는 영화나 드라마 등 다른 장르에 잔존해 있다.

같이 보기[]

참고자료[]

  • 서연호 (2000년 12월 26일). 〈3. 신파극의 수용과 대중화〉, 《우리연극 100년》. 서울: 현암사. ISBN 8932310769.


ja:新派劇

Advertisement